-
OSI 7 Layers vs TCP/IPWeb, Server, Cloud 2022. 6. 23. 10:52
OSI 7 Layers
OSI 7 Layer는 네트워크 표준 모델이다.
OSI 7 Layers를 알면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떠한 절차로 전송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현재는 이론적으로 남아있고, 실제로 구현되는 예는 없다고 한다.
OSI 7 Layer는 네트워크 및 장비 개발과 통신을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실질적인 통신은 OSI 7 Layer 중 일부를 사용하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 1계층 : Physical Layer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주는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 : 비트(bit)
- 프로토콜 : RS-232, RS-449 등 케이블
- 장비 : 허브, 리피터
- 2계층 : Datalink Layer
- 네트워크 계층 패킷 데이터를 물리적 매체에 실어 보내기 위한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 : 프레임(Frame)
- 프로토콜 : Ethernet, PPP, HDLC, ALOHA 등
- 장비 : 브릿지, 스위치
- 3계층 : Network Layer
- 패킷을 목적지까지 가장 빠른 경로로 전송하기 위한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 : 패킷(Packet)
- 프로토콜 : IP, RIP, ARP, ICMP
- 장비 : 라우터
- 4계층 : Transport Layer
- 세그먼트 단위로 데이터 전송하여 전송이 유효한지 확인하며, 전송에 실패한 패킷을 재전송 하는 등 신뢰성 있는 통신을 보장하는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 : TCP인 경우 Segment / UCP인 경우 Datagram
- 프로토콜 : TCP, UDP
- 장비 : 게이트웨이
- 5계층 : Session Layer
- 통신을 위한 세션을 만드는 계층, 통신 세션을 구성하여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연결
- 데이터 전송 단위 : 메세지
- 프로토콜 : SSH, NetBIOS
- 6계층 : Presentation Layer
- Application Layer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하위 계층인 Session Layer로 보내기 전 통신에 적당한 형태로 변환
- 데이터 전송 단위 : 메세지
- 프로토콜 : JPG, MPEG, AFP, PAP
- 7계층 : Application Layer
- 사용자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응용 프로그램들이 포함된 계층
- 데이터 전송 단위 : 메세지
- 프로토콜 : telnet, HTTP, FTP, DNS, SMTP
TCP/IP
TCP/IP는 패킷 통신 방식의 인터넷 프로토콜인 IP와 전송 조절 프로토콜인 TCP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각각 OSI 7 Layers에서 3계층과 4계층에서 사용되는 방식이다.
Network Layer의 IP는 패킷 전달 여부를 보장하지 않고, 패킷을 보낸 순서와 받는 순서가 다를 수 있다.
Transport Layer의 TCP는 IP 위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전달을 보장하고 순서 또한 보장한다.
TCP/IP는 위 두가지를 함께 사용하여 IP 주소 체계를 따르고, IP Routing을 이용해 목적지로 도달하며, TCP의 특성을 활용해 송신자와 수신자의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고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HTTP, FTP, SMTP 등 TCP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Application Layer의 프로토콜들이 IP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이를 통칭하여 TCP/IP라고 부르기도 한다.
References
반응형'Web, Server,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프카 producer - 확실한 도착 보장을 위한 옵션 설정 (0) 2023.07.22 URI vs URL (0) 2022.06.21 브라우저에 주소를 적으면 일어나는 일 (0) 2022.06.20 ubuntu 20.4 mongodb 설치 (0) 2022.06.17 gcloud 브라우저 없이 로그인 하기 (0) 2022.06.17 - 1계층 : Physical Lay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