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Server, Cloud
-
카프카 producer - 확실한 도착 보장을 위한 옵션 설정Web, Server, Cloud 2023. 7. 22. 08:09
확실한 도착 보장을 위한 옵션 delivery.timeout.ms ≥ request.timeout.ms + linger.ms Kafka에서 delivery.timeout.ms는 프로듀서가 메시지를 브로커에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데까지 기다리는 최대 시간을 설정하는 속성이다. 반면에 request.timeout.ms는 프로듀서가 브로커로부터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 시간을 설정하는 속성이다. linger.ms는 프로듀서가 메시지를 배치로 모아서 보내는 데 사용되는 시간이다. 메세지가 전달될 때 까지 기다리는 최대 시간 (delivery.timeout.ms) 을 응답을 기다리는 최대 시간 (request.timeout.ms) 과 새로운 메세지를 보내기 위해 배치로 메세지를 모으는 최대 시간 (linger.ms) ..
-
OSI 7 Layers vs TCP/IPWeb, Server, Cloud 2022. 6. 23. 10:52
OSI 7 Layers OSI 7 Layer는 네트워크 표준 모델이다. OSI 7 Layers를 알면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떠한 절차로 전송되는지 이해할 수 있다. 현재는 이론적으로 남아있고, 실제로 구현되는 예는 없다고 한다. OSI 7 Layer는 네트워크 및 장비 개발과 통신을 이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실질적인 통신은 OSI 7 Layer 중 일부를 사용하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1계층 : Physical Layer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주는 계층 데이터 전송 단위 : 비트(bit) 프로토콜 : RS-232, RS-449 등 케이블 장비 : 허브, 리피터 2계층 : Datalink Layer 네트워크 계층 패킷 데이터를 물리적 매체에 실어 보내기 위한 계층 데이터 전송 단..
-
URI vs URLWeb, Server, Cloud 2022. 6. 21. 09:52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라고 번역된다.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고유한 주소이다. URL은 무엇일까?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통합 자원 지시자(Uniform Resource Locator, URL) 정도로 번역할 수 있겠는데, 이 것보다는 URL이라는 명칭이 외래어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결국 두 가지는 Identifier이냐 Locator이냐의 차이점이라고 하는데, 잘 이해하고 보아도 두 가지를 언어적으로 구분지으려는 것은 욕심이고, 별 의미도 없다. 그림으로 구분지어 보자. 그림을 이해하고 나면 언어적으로도 이해된다. 위 그림만..
-
브라우저에 주소를 적으면 일어나는 일Web, Server, Cloud 2022. 6. 20. 14:01
기본적인 내용 Local cache를 검색해서 매핑된 ip가 있는지 찾는다. hosts 파일을 검색해서 매핑된 ip가 있는지 찾는다. DNS Hierarchy* 를 검색해서 매핑된 ip가 있는지 찾는다. 1, 2, 3 과정 중 하나로 domain name에 매핑된 ip를 획득한다. 해당 ip로 TCP 연결을 맺는다. TCP 연결 하에서 HTTP request를 보낸다. HTTP response를 받는다. * 참고 : DNS Hierarchy GSLB GSLB (Global Server Load Balance) Load Balance라는 이름과는 조금 다르게, GSLB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로드밸런싱과는 차이가 있다. GSLB는 전통적인 DNS와 같이 동작하며 추가적으로 health check와 activ..
-
ubuntu 20.4 mongodb 설치Web, Server, Cloud 2022. 6. 17. 19:31
ubuntu 20.4 버전에 mongodb 특정 버전을 설치해야 할 일이 있다. mongodb 4.2 버전을 설치하고자 한다. 더보기 💡 MongoDB 4.2 Community Edition supports the following 64-bit Ubuntu LTS (long-term support) releases on x86_64 architecture: 18.04 (“Bionic”) LTS 16.04 (”Xenial”) LTS 공식 문서에는 MongoDB 4.2 커뮤니티 에디션은 ubuntu 18.04 LTS, ubuntu 16.04 를 지원한다고 써있긴 하지만, ubuntu 20.4 버전도 설치는 되었다. 이후 별다른 문제가 없을 지는.. 확신이 들지 않는다. 테스트 용도로 사용할 것이기에, 일단 ..
-
gcloud 브라우저 없이 로그인 하기Web, Server, Cloud 2022. 6. 17. 12:20
ubuntu 에서 browser 없이 gcloud 로그인 하기 ubuntu 서버에서 브라우저 실행 없이 gcloud 로 로그인을 하기 위한 절차를 알아보자. 공식문서는 이 곳이다. 만약 브라우저가 실행 가능한 환경이라면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 $ gcloud auth login // 혹은 $ gcloud auth login 그러나 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없는 ubuntu 서버에 ssh 로 연결한 환경의 경우에는 특이한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방법 자체가 낯설어서 이해하기 위해 시간이 좀 걸렸다. 브라우저를 실행할 수 없는 환경에서 --no-browser 옵션으로 로그인을 시도한다. $ gcloud auth login --no-browser 그러면 다음과 같은 안내 메세지를 콘솔에 출력해준..
-
AWS ElastiCache 간단히 살펴보기Web, Server, Cloud 2022. 1. 12. 07:51
Amazon ElastiCache for Redis 레디스는 데이터베이스, 캐시 그리고 메시지 브로커처럼 사용되는 인-메모리 데이터 자료 저장소이다. Amazon ElastiCache 는 Redis 를 이용한 아마존의 Cache 지원 서비스이다. 특징 빠름 NoSQL Database 시스템임 다양한 언어를 지원함 (JavaScript, Java, Go, C, C++, C#, Python, Objective-C, PHP, ...) 오픈소스이며, 안정성을 갖춤 다양한 자료구조 저장 가능 (String, List, Set, Sorted Set, Hashes, Bitmaps, HyperLogLogs, ...) 어떻게 동작하는가? 데이터베이스가 디스크나 SSD 에 저장되는 것과는 반대로, 모든 레디스의 데이터는 ..